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새끼 고양이 구조 시 알아야 할 부분은 무엇일까?

by щ ъ ы ы iIiIIil 2023. 3. 7.

평소 집 근처를 돌아다니다 보면 어렵지 않게 길거리를 떠도는 새끼 고양이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저도 이러한 경험이 적지 않은데요. 꼬물거리는 고양이가 귀엽기도 하고 안타까운 마음에 새끼 고양이들을 도와주고 싶지만 적절하지 못한 도움은 오히려 새끼 고양이들에게 독이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새끼 고양이 구조 시 알아야 할 부분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람을 바라보는 아기고양이

 

새끼 고양이 구조 시 알아야 할 부분

1. 새끼 고양이가 처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기

고양이 구조 시 알아야 할 부분 중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단순히 새끼 고양이가 혼자 돌아다닌다고 해서 빠르게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생각에 바로 구조하기보다는 적게는 한두 시간 길게는 하루 정도 상황을 살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 새끼 고양이에게 사람의 체취가 묻는다면 어미에게 버림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채취가 묻지 않도록 접촉은 피하시는 것이 좋으며 새끼 고양이의 건강 상태가 좋아 보이고 청결 유지가 잘된 것처럼 보인다면 어미 고양이가 잠시 자리를 비운 상태일 확률이 높으니 섣불리 구조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2. 책임질 수 없다면 사람 손에 길들지 않도록 하기

새끼 고양이를 새로운 가족으로 맞이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다양한 이유로 모두가 그럴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새끼 고양이 구조를 위해 안전한 위치로 옮겨주거나 음식을 제공하는 등의 노력을 하더라도 사람에게 의존하지 않도록 거리를 두고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사람에게 길들여지면 스스로 살아갈 능력을 잃게 되고 경계심이 낮아져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3. 새끼 고양이의 건강 상태 확인하기

길고양이들은 각종 위험으로부터 무방비합니다. 체온이 낮거나, 다리를 절뚝임, 마른 몸 상태, 털 관리가 되어있지 않은 새끼 고양이는 외관적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한눈에 건강에 이상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 어려운 질환도 있죠. 대표적으로 구조된 새끼 고양이에게 나타날 수 있는 질환으로는 피부 사상균증을 비롯한 세균, 기생충 감염이나 귀 진드기, 범백혈구 감소증, 상부 호흡기 증후군 등이 있다고 하니 새끼 고양이 구조 시 건강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오늘은 새끼 고양이 구조 시 알아야 할 부분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봤는데요. 이러한 점을 인지하지 못한다면 고양이를 돕기 위한 마음에 한 행동이지만 오히려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하셔서 안전한 고양이 구조가 진행되길 바라며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